생활정보

React Hooks useEffect 사용 시기의 기준

React Hooks: useEffect의 이해와 활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액트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훅 중 하나인 useEffec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훅은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useEffect란 무엇인가?

useEffect는 리액트에서 컴포넌트가 마운트되거나 업데이트, 언마운트될 때 부수 효과를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훅입니다. 리액트의 공식 문서에 따르면, useEffect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 컴포넌트를 조금 더 간편하게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이라는 것은 API 통신, DOM 조작, 이벤트 리스너 등록 등을 포함합니다.

useEffect의 인자와 실행 시점

useEffect는 두 개의 인자를 받습니다. 첫번째 인자는 실행할 로직을 담고 있는 함수이며, 두번째 인자는 의존성 배열입니다. 이 배열에 나열된 상태값이 변경될 경우, 첫번째 인자의 함수가 호출됩니다. 또한, useEffect는 컴포넌트의 렌더링이 완료된 이후에 실행됩니다.

여러 개의 useEffect 사용하기

한 컴포넌트 내에서 여러 개의 useEffec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관심사를 구분하여 관련된 로직을 따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의 크기가 변경될 때마다 로그를 찍거나 API 데이터를 가져오는 로직을 각각의 useEffect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첫번째 useEffect: 컴포넌트 마운트 시 데이터 초기화
  • 두번째 useEffect: 특정 상태값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동작
  • 세번째 useEffect: cleanup 함수 활용

cleanup 함수의 중요성

useEffect 내부에서 반환하는 함수는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 때 호출되는 cleanup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이전에 등록된 이벤트 리스너를 제거하거나, 웹소켓 연결을 닫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처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useEffect의 실행 순서

useEffect는 의존성 배열에 포함된 상태값의 변화를 감지하고, 렌더링이 완료된 후에 로직 함수를 실행합니다. 즉, 변경된 상태값에 따라 비동기적으로 호출되며, 여러 개의 useEffect가 있을 경우 작성된 순서에 맞춰 차례대로 실행됩니다.

비효율적인 useEffect 피하기

복잡한 로직을 하나의 useEffect로 작성하려고 하면 코드가 비효율적이거나 이해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여러 개의 useEffect로 나누거나 맞춤형 훅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맞춤형 훅은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API 호출과 useEffect

리액트에서 API를 호출할 때 useEffect를 활용하면 유용합니다. 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될 때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고 이를 상태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이 경우 빈 의존성 배열을 전달하여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 한 번만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리스너 등록하기

useEffect는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하고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의 크기가 변경될 때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설정한 뒤,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 때 해당 이벤트 리스너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메모리 사용과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결론

useEffect는 리액트 컴포넌트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다양한 부수 효과를 처리하는 데 매우 유용한 훅입니다. 이 훅을 적절히 이용하면 보다 깔끔하고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간단한 예제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복잡한 로직을 구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리액트에서 useEffect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관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useEffect를 활용한 더 다양한 패턴과 예제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자주 찾으시는 질문 FAQ

useEffect란 무엇인가요?

useEffect는 리액트에서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관련된 효과를 관리하는 훅으로, 예를 들어 API 호출이나 DOM 업데이트 같은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useEffect의 실행 시점은 언제인가요?

useEffect는 컴포넌트의 렌더링이 끝난 후에 실행되며, 의존성 배열에 명시된 상태가 변동할 경우에만 지정된 로직을 다시 실행합니다.

cleanup 함수의 용도는 무엇인가요?

cleanup 함수는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 때 호출되어, 등록된 이벤트 리스너를 해제하거나 이전의 리소스를 정리해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